새만금사업의 기대효과
![](http://www.isaemangeum.co.kr/images/title_txt/title03_04.gif)
![](http://www.isaemangeum.co.kr/images_is/intro/icon_arrow_1.gif)
협소한 국토, 세계 4위의 높은 인구밀도, 평지가 30% 남짓한
척박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고자 시작된 새만금사업이 완공되면
우리는 여의도 면적의 140배에 달하는 새로운 땅을 얻게 되며,
이는 국민모두에게 땅 2평과 담수 1평을 나누어 줄 수 있을 정도로 넓은 면적입니다.
대규모 우량농지 조성
새만금사업을 통해 생겨난 비옥한 토지에는 식량작물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각종 원예 및 사료작물 등을 다양하게 재배할 수 있으며,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식량 자급률, 시장개방에 따른 농업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규모화· 집단화된 유량농지는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수자원확보 : 연간 10억톤
우리나라는 UN에서 분류한 아시아 유일의 물 부족국가이며,
빠르면 2006년에는 물 부족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
새만금사업이 완공되면 중규모 저수지 200개의 수량에 해당하는 10억톤의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어
미래의 물 부족사태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음
![](http://www.isaemangeum.co.kr/images_is/intro/icon_arrow_1.gif)
새만금지구의 만경강과 유역은 매년 12,000ha에 달하는 상습적인 침수피해를 겪고 있음.
새만금방조제는 이러한 상습침수피해를 예방하는 기능을 할 것이며,
매년 4,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육운개선 및 종합관광권 형성
33km의 방조제가 완공되면 군산~부안 간 교통거리 66km가 단축,
육지와 섬지역이 연결되어 교통환경이 개선되고 또한 새만금사업으로 생겨나는 드넓은 토지와 호수는
변산국립공원 등 천혜의 관광자원과 어우러져 세계적인 관광권을 형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33.9Km로 세상에서 가장 긴 방조제로 기네스북에 오른 방조제는 기개통(10년4월) 되었으며
그 사이 1000만명이 다녀갔다고 한다.
이에 따른 사회간접자본인SOC(Social Overhead Capital)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국제공항
![]() 새만금의 투자유치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토지조성과 SOC 확보가 급선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새만금 신항만 건설, 새만금∼군산간 철도 건설, 새만금∼포항간 고속도로 건설 등을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추진해 나가는 한편, 새 정부도 새만금사업과 한반도 대운하, 국제과학비즈니스 도시 건설 등을 3대 역점 국책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 중국, 싱가포르, 아일랜드 등 각국의 경제특구 조성시 최우선적으로 시작하는 것이 SOC 확충입니다. 새만금 국제공항은 새만금의 미래 경제수요 폭증에 대비하고, 글로벌 비즈니스의 우수한 접근성 확보를 위해 건설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새만금ㆍ군산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경제ㆍ물류 중심지로 부상, 국제 해양관광 단지ㆍ물류기지ㆍ신항만 등 여건변화에 따른 국제항공수요에 대비해야 합니다. ![]() 국제공항은 혁신도시, 기업도시, 태권도공원등 지역균형 발전 정책에 따른 잠재 항공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 또한, 현대중공업, LS전선, 두산 인프라 코아, 동양물산 등 국내 대기업의 전북권 입주가 확대되어 새로운 항공수요가 창출될 것입니다. 아울러 주 5일 근무제 시행과 관광자원 개발에 따른 관광수요 증가로 중국ㆍ일본 등 국ㆍ내외 관광객이 새로운 항공수요로 등장할 것입니다. 앞으로 국제공항 건설 기본계획을 수립해 제4차 공항개발중장기 종합개발계획 반영 및 기본계획으로 확정해야 합니다. ![]() 새만금 내부개발계획 수립 시 우주ㆍ항공정비 산업 등과 연계하여 국제공항 건설이 함께 추진되어야 합니다. 새만금지역 항공 기반시설 확충으로 바이어 및 관광객 편의를 도모하는 한편 우주ㆍ항공정비 산업과 연계한 국제공항 건설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 | ||||||||||||||||||||||||||
출처 - www.saemankum.go.kr
전라북도의 지형은 편의상 호남고속도로를 기준으로 두 지역으로 나뉜다. 동쪽은 임실·진안·장수·무주·남원 등의 산악지대이고, 서쪽은 한반도의 중서부에 드넓게 펼쳐진 평야와 해안·도서로 이뤄져 있다. 여기서 새만금방조제를 서쪽 경계로 해안을 따라 군산시-고군산군도-부안군(변산 국립공원)-김제시로 연결되고, 그 외곽으로 고창-정읍-전주서부-익산을 아우르는 문화적 완결성이 강화된 지역문화권이 모습을 드러낸다.
위성사진을 보면 동부와 서부지역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 새만금문화권은 서쪽으로 평야와 바다를 향해 열리고 동쪽으로 산악에 둘러싸인 지형의 특징을 보인다. 이런 지형적 특징은 이 지역에 독특한 삶의 방식과 문화를 만들었다.
|